초짜코딩의 잡동사니

웹표준/ 웹접근성 / 웹호환성 본문

HTML

웹표준/ 웹접근성 / 웹호환성

초짜코딩 2022. 2. 3. 17:53

웹표준이란 ?

구글, 파이어폭스, 사파리 등 세상에는 브라우저 종류가 참 많습니다. 우리나라에도 네이버에서 개발한 웨일이라는 브라우저가 있죠. 나라마다 우리는 알지 못하는 브라우저의 종류들이 다양하게 많을 겁니다.

여기서, 우리가 코딩을 할 때, 각 브라우저마다 다른 것이 보여진다면? 혼란스럽겠죠? 그래서 이를 막기 위해 표준화 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물을 보여주는 것을 웹표준이라고 합니다.

웹표준은 2007년도부터 대중화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과거에는 웹표준이 없어서 table이라는 태그로만 브라우저를 구성하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h1, h2, p, ul, ol 등 적재적소에 맞는 태그를 기술할 수 있게 되었죠. 이렇게 알맞은 태그를 사용하여 HTML 문서를 작성하는 것을 시맨틱 마크업이라고 합니다.

내가 당장 보고있는 사이트가 웹 표준에 잘 맞게 작성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다음을 눌러 검사 페이지에 입장하실 수 있습니다.

웹접근성의 향상

다음 섹션에서 살펴봅시다.

구조와 표현의 분리

과거에는 html로 구조와 표현(css)까지 모두 아울렀습니다.

호환성 확보

크로스브라우징에 용이합니다.

작업, 유지보수 속도의 향상

CSS의 아이디와 클래스 등을 이용하여 작업의 속도가 좋아졌습니다.
 

웹접근성이란 ?​

모두가 차별없이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일반인, 장애인, 고령자 등)

사용자층 확대

글씨 크기 조절, 색상의 대비 등을 통하여 다양한 사람이 콘텐츠를 무리없이 즐길 수 있도록 돕습니다.

규정 & 법적 요구 준수

장애인의 웹사용에 있어서 차별이 없도록 합니다.

기업 이미지 향상

다양한 사용자를 배려함으로써
기업의 이미지가 향상됩니다.

 

웹호환성이란 ?​

OS, 브라우저에 상관없이 유사한 화면으로 동일한 정보에 접근이 가능해야 합니다. 브라우저마다 코드를 표현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100% 동을한 화면은 불가합니다. 그러나 정보는 동일해야하죠. 웹표준을 기술을 지킨다고 해도 웹호환성을 100% 만족시키기는 어렵습니다.

다양한 환경 적용

다양해진 사용자의 환경에 상관없이 동일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기 이용

OS가 업데이트 되거나, 새로운 기기가 나와도 웹서비스 이용에는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사용자층 확대

동일한 맥락입니다.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목  (0) 2022.04.29
블록과 인라인  (0) 2022.04.29
그리드 시스템  (0) 2022.01.25
시맨틱 태그  (0) 2022.01.24
HTML이란?  (13) 20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