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짜코딩의 잡동사니
단락 본문
단락
단락(Paragraph)
단락이란 내용상 끊어서 구분할 수 있는 하나하나의 부분을 의미하며, 문단이라고도 부릅니다.
HTML에서는 <p>태그를 이용하여 이러한 단락을 표현합니다.
예제
<h1>제목1의 크기입니다!</h1>
<h2>제목2의 크기입니다!</h2>
<h3>제목3의 크기입니다!</h3>
<p>여기서부터 단락입니다.</p>
띄어쓰기와 줄 나누기
HTML 코드에서 띄어쓰기나 줄 나누기를 여러 번 하더라도 웹 브라우저를 통해 나타나는 화면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웹 브라우저는 여러 번의 띄어쓰기나 줄 나누기를 오직 하나의 띄어쓰기나 줄로만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다음 예제는 웹 페이지에 여러 번의 띄어쓰기와 줄 나누기를 표현하기 위해 작성한 예제입니다.
예제
<p>
줄을 나누고 싶어서
이렇게 줄을 나눠봤습니다.
과연 그대로 출력이 될까요?
</p>
위의 예제는 여러 번의 띄어쓰기와 줄 나누기를 표현하고자 <p>태그를 이용합니다.
하지만 <p>태그 내에서 작성된 여러 번의 띄어쓰기와 줄 나누기는 오직 하나의 띄어쓰기로만 표현됩니다.
<br>태그(break line)를 사용하면 새로운 단락을 만들지 않고도 줄을 나눌 수 있습니다.
이러한 <br>태그는 종료 태그가 없는 빈 태그(empty tag)입니다.
예제
<p>
줄을 나누고 싶어서<br>
이렇게 줄을 나눠봤습니다.<br>
<br>
과연 그대로 출력이 될까요?
</p>
텍스트(text) 서식 미리 정의하기
HTML 코드에서 작성한 텍스트 서식을 그대로 표현하려면 <pre>태그를 사용해야 합니다.
<pre>태그(preformatted text) 내에 작성된 텍스트의 모든 띄어쓰기와 줄 나누기는 웹 브라우저에 그대로 표현됩니다.
예제
<pre>
줄을 나누고 싶어서
이렇게 줄을 나눠봤습니다.
과연 그대로 출력이 될까요?
</pre>
수평 가로 구분선
단락을 나눌 때나 내용상의 구분을 표현하고자 할 때 수평 가로 구분선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사용되는 수평 가로 구분선을 HTML 코드에서는 <hr>태그(horizontal rule)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예제
<p>저는 하나의 단락입니다.</p>
<hr>
<p>저는 하나의 단락입니다.</p>
<hr>
<p>저는 하나의 단락입니다.</p>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M은 무엇인가? (0) | 2022.06.22 |
---|---|
서식 (0) | 2022.04.29 |
제목 (0) | 2022.04.29 |
블록과 인라인 (0) | 2022.04.29 |
웹표준/ 웹접근성 / 웹호환성 (0) | 2022.02.03 |